GPS 한계 극복 ‘uGPS’, 원하는 장소에 정밀한 신호 지원

관리자
조회수 3

최근 뉴스를 통해 수입 차량을 훔쳐 간 청소년들을 검거하고, 사업장 폐기물 처리에 대한 전 과정을 관리하기 위해 ‘GPS(위치정보시스템)’을 이용했다는 소식이 흔하게 들려오고 있다. 이 외에도 스마트워치, 스마트폰 보안 서비스, GPS 기반 앱 등 다양한 측면에서 GPS는 우리 생활과 밀접한 연관을 가진다. 가령 노인 치매 환자, 장애인들의 실종 예방을 위한 위치기반서비스(LBS)도 정부기관, 지방자치단체 등과 연계되어 시행 중이나, GPS를 포함해 무선인터넷(WI-fi), 휴대전화 기지국의 영향에 따라 정확한 접근이 어렵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처럼 GPS는 음영 지역에서 신호가 튀는 증상으로 인해 가끔씩 수백 미터의 오차 범위가 발생하곤 한다. 또한 빠르게 달리는 차량에서는 측위 정확도가 떨어지고, 보행자 중심의 실내 측위에만 집중됐다는 특징을 가진다. 인천테크노파크와 창업진흥원이 주관하는 초기창업패키지에 선정된 ㈜아이디씨티(대표 류지훈)는 GPS의 문제점에서 착안하여 ‘uGPS(Underground GPS)’ 시스템을 통한 수신 문제 해결에 나섰다.


항공기, 선박, 자동차 등의 내비게이션 장치에 주로 쓰이는 GPS는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수신해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계산하는 위성항법 시스템을 말한다. 아이디씨티는 기존 터널, 지하 도로에서 연결이 다소 어려웠던 문제점에 반해 모든 장비에서 인공위성과 동일한 신호를 생성하는 ‘uGPS’를 개발했다. uGPS는 GPS 센서가 내장된 스마트폰, 내비게이션 등 일반적인 GPS 수신기에서 추가 장치나 앱 없이도 원하는 장소에 설치 시 정밀한 수준의 신호를 제공한다. 글로벌 표준 기술인 GNSS를 제공하기 때문에 설치 후 별도의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의 개발이 필요 없이 기존 제품으로 사용할 수 있다.

직선 링크(LOS, Line of Sight)가 연결되지 않아 수신율이 떨어지는 점을 해결할 수 있는 자연스러운 핸드오버(hand-over)가 특징으로 외부와 터널이 이어지는 구간에서도 버벅대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이 외에도 하드웨어 재구성이 가능한 고성능 RF발신기(SDR)로 빠르고 간편한 업데이트 제공, 소프트웨어 조작을 통한 실시간 기능 조절, 원격 업데이트 관리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한편 아이디씨티는 서울기술연구원과 함께 시범사업을 통해 서울 남산1호 터널에서 실증사업을 진행했으며, 대중교통 도착예정시간 오차를 줄일 수 있도록 ‘잠실광역버스환승센터’ 정류장에 정확한 교통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에 적용돼 시민들의 편의성을 높인 바 있다.

[최은화 매경비즈 연구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 원문 보러가기

0 0